Web62 Replication [Replication]데이터를 물리적으로 다른 서버의 저장공간에 동일한 데이터를 복사하는것.1개의 마스터와 n개의 슬레이브로 구성. 마스터에서만 데이터변경(읽기포함) 작업 수행이 가능하며 슬레이브에서는 읽기작업만 가능. Replication 기능과 용도는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 특징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데이터 백업과 복구를 의미하 는 것은 같다. Mysql 에서 Replication 은 백업/복구는 물론 미러링 구축으로 활용하기 좋은 도구이다. 또한 마스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Replication 을 통해 슬레이브 서버로의 효과적인 분산이 가능하다. - 장점 과부하 마스터서버의 부하 분산서버로 활용 , 마스터에서 장애발생시 슬레이브를 이용하여 자료의 유실없이 마스터 복구.. 2018. 3. 6. GCM [GCM(Google Cloud Messaging) 이란?]GCM이란 개발자가 서버에서 자신의 Android 애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해주는 무료 서비스이다. 서버에서 가져와야할 새로운 데이터가 있음을 Android 애플리케이션에 알리는 적은 용량의 메시지이거나, 최대 4KB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1KB = 1024byte 한글자당 2byte 4KB = 한글 2천자 정도)따라서 메신저와 같은 앱은 메시지를 직접 사용할 수 있다. 구글 2012 I/O에서 그전까지 사용한 C2DM대신 GCM을 들고 나왔다. 그 뒤 구글은 C2DM의 신규 가입을 중단하고, GCM만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GCM이 구글 계정을 사용하고, 그 때문에 API 8 (프로요)이상 부터 사용이 가능하다... 2018. 3. 5. RAID - 디스크배열 [디스크배열(RAID) 이란?] RAID란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의 약자로 디스크를 여러장 묶어서, 데이터 중복성 및 성능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기법. 여러 디스크를 하나의 장치로 인식하게 하는 방법. 단일 디스크로 만들 수 없는 거대한 스토리지 공간을 확보하거나 속도를 높이거나 하는 데 쓰이고, 미러링을 통해 가용성을 높이는 데 이용가능미러링의 경우 백업과 개념이 혼동되곤 하는데 작업자가 (실수로라도) 손수 날린 내용에 대해서 복구를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백업이라고 할 수는 없다. RAID 기법은 참으로 많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실무에서는 RAID0, RAID1, RAID5, RAID10또는 RAID01을 많이 사용. 레이드를 구성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 2018. 3. 5. http module (server, request, response, cookie) http module [server 객체의 메서드]createServer() : server객체 생성listen() : 서버 실행close() : 서버 종료 //서버 생성 및 종료//모듈 추출 var http = require('http'); var fs = require('fs'); // 2018. 3. 2. Node js Email Send 나는 Gmail 에서는 SMTP설정을 바꿔줘도 변경 된 설정이 적용되지 않는(?) 이상한 문제가 있어서네이버 계정으로 이메일을 보낸다. 네이버 SMTP 설정은 메일 페이지의 최 하단에서 환경설정으로 들어 간 후 POP3/IMAP 설정에서 POP3/IMAP 설정을 사용함으로 체크해두면 된다. Node js 로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 nodemailer 모듈을 설치npm install nodemailer --save //모듈 추출 var nodemailer = require('nodemailer'); var fs = require('fs'); // 2018. 3. 2. 리눅스 계정관리 명렁어 [계정관리 명렁어] [사용자 계정추가]# useradd 사용자명 [계정확인]# /etc/passwd | grep 사용자명 [useradd 명령어를 사용해서 사용자 계정을 추가할 때 기본 적용되는 정보]GROUP : 기본 그룹 ID // = 100HOME : 홈 디렉토리 경로 // = /homeINACTIVE : 암호만료 후 사용가능한 기간 지정 // = -1EXPIRE : 만료일 지정SHELL : 기본 쉘 // = /bin/bashSKEL : 기본 환경 설정 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 = /etc/skelCREATE_MAIL_SPOOL : 계정의 메일 저장 파일 생성 유무 // = yes [useradd (옵션) 명령어]b : 루트 밑의 홈 디렉토리 밑에 계정까지만d : 홈 디렉토리 설정g : 그룹아.. 2018. 3. 2. 이전 1 ··· 4 5 6 7 8 9 10 11 다음